사천항
이 마을은 원래 강릉부였는데 동해안(愛日堂里)에 있었다고 하여 불가(佛家)라고 불렸는데 노동리를 담당하던 곳이 사천면이 되었다.
그 후 1916년 애일당리, 행개들, 거불, 뒤섬, 솔맞이를 합쳐 사천진리라 명명하였다.
Big Catch Festival은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에 열립니다.
1971년 제1어항으로 지정되어 1982년 개발을 시작하여 1988년 완료하였다.
53척의 어선에서 어부 70여 명이 주로 양고기, 광어, 오징어를 잡고 삽만 한 조개인 가리비 양식으로 큰 수입을 올린다.
가리비 직매장에서는 신선한 홍합 고기를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습니다.
포구에는 강원도 유일의 요트조선소가 있어 요트를 타고 항해하는 바다풍경이 이국적인 정취를 풍긴다.
도보 10분 거리에 홍길동 작가 ‘허균’의 생가가 있으며 ‘아일당’ 터와 문예비가 자리 잡고 있으며, 경포해수욕장은 들판 끝 산골마을처럼 보입니다.
.
사천 진리 266-2 사천진 해수욕장
길이 800m, 면적 16,000㎡의 백사장이 펼쳐진다.
사천항 옆에 횟집이 많아 싱싱한 회를 저렴하게 사서 맛볼 수 있고 바닷물이 얕고 조용하고 아름다운 곳에 깔끔하게 꾸민 게스트하우스가 있어 회식하기 좋은 곳이다.
몇 일 체류.
소금강과 가까워 피서지로 적합하다.
경포대해수욕장 북쪽에 위치하여 여름철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으로 어항, 횟집, 숙박시설 등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스쿠버다이빙을 체험할 수 있는 다이빙 리조트도 여럿 있다.
모래가 질이 좋고 수심이 얕아 가족 나들이 장소로 안성맞춤이다.
백사장 뒤로는 드넓은 소나무 숲과 완만한 경사의 백사장이 특징이다.
하지만 단점은 바로 해변에 건물이 있고 나무가 거의 없어 작열하는 태양을 피할 곳이 없다는 점입니다.
바닷가 소나무 숲은 사천보다 연곡해수욕장이 훨씬 좋다.
하지만 연곡에는 특별한 시설이 없어 여름을 즐기며 머물 수 있는 지역은 아니다.
바다 낚시
사천포구에서 바다낚시를 즐길 수 있고, 강원도에는 요트리조트가 있어 이국적인 정취를 느낄 수 있다.
여름에는 바다를 건너는 유람선이 2만원(4인)에 운행되며 여관(2곳 56실), 게스트하우스(19곳 144방) 등의 숙박시설이 있다.
탈의실(2), 식수대(1), 화장실(1), 샤워장(2), 파라솔(100)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 피서객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합니다.
사천해수욕장 일출
5~6명이 탈 수 있는 23척의 낚싯배는 2~3시간에 1인당 2만원에 사천진항에서 연중 운영된다.
이 밖에도 60척의 어선이 사시사철 광어, 가재, 성게, 해삼, 멍게를 낚으며, 특히 봄에는 광어(광어), 고등어, 대구, 열무, 여름에는 넙치(넙치), 오징어 등을 낚는다.
오징어, 가을 더위, 겨울 도루묵, 겨울 도루묵. 주로 양미리와 대구를 잡는데, 이때 양미리로 유명하다.
양미리축제/강릉시청
고기잡이배는 보통 오후 4~5시에 돌아오며 항구 어시장은 봄~여름에는 오전 6시, 가을~겨울에는 오전 7시에 운영된다.
그리고 북조개, 민들레조개(재복), 떡조개, 바지락, 성게, 해삼, 지누아리는 연중 제철로, 5월~7월은 바지락, 3월~5월은 미역, 7월~12월은 미역을 수확한다.
전복과 가리비도 양식됩니다.
(구입처 : 제일수산☏(033)644-1146) 항구를 중심으로 어촌이 형성되어 있다.
가을에는 고등어를 많이 잡습니다.
예전에는 정어리가 많이 잡혔고, 그 뒤로는 정어리 공장이 있어 독특한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앞에는 앞섬(장구바위)이라는 바위섬이 있고 그 뒤로는 뒷섬인 뒷섬(테장바위)이 있다.
그리고 배가 정박한 볼락(돌간바위:영낙대)은 바다를 배경으로 꼿꼿이 서 있다.
옛날에 한 부자가 볼락을 낚고 있다가 싸움을 벌였다고 한다.
항구로 돌아온 아버지는 배를 락락에 정박하라고 명했지만, 아들은 싸움 때문에 기분이 좋지 않아 낚싯줄을 긋지 않았다.
그때 뜻하지 않은 돌풍이 불어 배가 전복되고 부자가 죽었다고 하여 ‘바위바위’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선착장이 있어 돌바위라고도 합니다.
사천면에 살던 선비들이 이 바위 위에서 영락 가문의 모임을 가졌기 때문에 바위에 ‘영락대(濚樂臺)’를 새겼다고 한다.
교산 허균의 잉태의 꿈이 보존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쓰촨 진리 돌고래횟집 033-644-1237
해안도로 뒤편 섬 앞에 위치
주황빛에 가까운 짙은 노란색 성게가 짙은 붉은색 해삼을 넣은 붉은 국물 한가운데 섬처럼 헤엄친다.
성게와 멍게를 숟가락으로 듬뿍 떠서 입에 넣는다.
성게는 크림처럼 부드럽습니다.
씹지 않아도 혀에서 살살 녹는다.
불평 할 수 없어. 성게알이 품위 있고 세련된 매운맛이라면 해삼은 야성미가 넘친다.
딱딱한 해삼은 씹을수록 성게와는 다른 감칠맛이 난다.
성게와 해삼은 서로의 감칠맛을 배가시켜줍니다.
여름 바다에 물린 느낌입니다.
사천해수욕장 주변에는 수많은 숙박시설이 밀집해 있습니다.
주로 게스트하우스가 많지만 해변의 좋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게스트하우스도 있습니다.
사천진항 바로 앞
파도소리펜션
(033-644-7779)는 2명에서 5명까지 수용할 수 있는 작은 방이 4개 있는 곳이다.
11개의 객실도 있지만 큰 객실은 거의 없습니다.
가격은 주말 비수기 5만원~9만원, 성수기 9만원~15만원이다.
이곳은 도로와 아쿠아리움 바로 옆이라 어수선한 분위기를 감수해야 한다.
항구에서 북쪽으로 조금 걸어가면 백사장이 내려다보이는 게스트하우스 두 채가 보인다.
첫 번째 집
해변 게스트하우스 및 홈스테이
(033-642-2223/010-7120-3562)는 3층 건물의 1층과 2층을 카페 겸 레스토랑으로 운영하고 있다.
객실은 최상층에 있으며 바다 전망이 좋습니다.
숙소와 식당이 같은 건물에 있어 약간 시끄러울 수 있습니다.
바로 옆에 있는 1층 건물
하얀 펜션
(011-369-9400) 총 6개의 객실이 있으며 작년에 오픈했으며 시설이 깨끗합니다.
작은방(8만원~9만원)은 2~4인, 큰방(13만원~14만원)은 최대 8인까지 이용 가능하다.
장기 예약 시 가격에서 10%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화이트 펜션은 목조 옥상 테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투숙객에게 테이블, 의자, 그늘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단체로 모여 파티를 하거나 옥상에 앉아 아이들이 해변에서 노는 모습을 지켜보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호텔은 사천해수욕장 뒤 언덕의 그림 같은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일출펜션
(033-655-7983, 019-304-7984) 모텔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6~7인용 패밀리룸, 4~5인용 온돌룸, 2인용 객실 등 총 19개의 객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의 특징은 게스트하우스 어디에서나 사천진 앞 바다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펜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떠오르는 태양을 즐기기에 좋은 곳입니다.
건물 앞에는 넓은 나무 데크가 있고 바다를 바라보며 식사나 바비큐를 즐길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가격은 비수기 7만원~13만원, 성수기 14만원~20만원이다.
홈페이지(www.pensionsunrise.net) 예약도 가능합니다.
방동리 7 가둔지펜션 033-644-0177, www.gadunji.com
2005년 봄에 지어진 비교적 깨끗한 케이지 펜션으로 바다와 시골을 동시에 느낄 수 있습니다.
펜션 앞 울창한 소나무 숲은 이른 아침에는 등산로가 되고, 저녁에는 호스텔에 앉아 담소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곳을 방문하는 손님들이 조용하고 방해받지 않도록 가족과 커플을 위한 객실만 제공되며 휴게실은 없습니다.
건물의 색상은 깔끔하고 고급스러우며 인테리어는 원목마루와 벽지로 이루어진 원베드룸 스타일입니다.
모든 객실은 TV/냉장고/전자레인지를 기본으로 갖추고 있으며 커플들이 이용하기 편한 다양한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운이 좋으면 전망이 좋은 비비추룸과 클레룸도 잡을 수 있고, 이곳의 최상층은 동해바다가 내려다보인다.
일반적인 다락방과 달리 비교적 넓은 공간이라 부부가 둘만의 시간을 보내기에 좋다.
층마다 테라스마다 벤치가 있어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을 맞으며, 정문 바로 밖 소나무 숲은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쉼터를 제공한다.
게스트하우스에서 제공하는 자전거를 빌려 경포호까지 10분이면 갈 수 있습니다.
여행 정보
1. 주변 맛집
초가 서지 정원: 모싸밥 / 033-646-4430 / korean.visitkorea.or.kr
초당오마순두부 순두부 백반 / 033-652-2058 / korean.visitkorea.or.kr
하우스 강릉 감자옹심: 감자옹심이 / 033-648-0340 / korean.visitkorea.or.kr
2. 숙소
주문진 호텔: 주문진읍 불당골길 / 033-661-0123 / korean.visitkorea.or.kr
다빈치 모텔: 강동면 정동진리 / 033-644-5043 / korean.visitkorea.or.kr
하슬라뮤지엄호텔 : 강동면 율곡로 / 033-644-9414~5 / korean.visitkorea.or.kr
다우리조텔: 강동면 정동등명길 / 033-644-1771, 033-644-8338 / korean.visit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