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매 낙찰자 35%가

경매 시장에 관심을 갖는 젊은 층이 늘면서 20~30대 낙찰자가 늘고 있다.
지난달 낙찰 후 소유권 이전 등기를 완료한 구매자 5명 중 1명은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매 낙찰자 35%가 1

지난 24일 법원등기정보광장에서 명의이전등기를 마친 부동산 매입자(토지, 건물, 공동주택 포함)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경매에서 부동산을 매입한 매입자의 19.9%가 19~39세였다.
경매에서 낙찰자는 보통 6주 이내에 소유권 이전 등록을 완료합니다.
경매 낙찰자의 5분의 1이 20~30대라는 뜻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집값 하락이 시작되자 싸게 사려는 20~30대들이 경매장에 뛰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반년 전인 지난해 8월까지만 해도 19~39세 경매 구매자 비중은 17% 안팎이었다.
지난해 하반기 11~14%에 머물던 30대 쇼핑객 비중도 지난해 12월 15%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까지 2개월 연속 15% 증가했다.

경매 시장에서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20대 바이어들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구매 비중이 3~4%에 불과했던 20대 바이어들은 지난해 10~11월 5%를 넘어섰다.

실제 수요가 집중된 수도권의 20~30대 낙찰자의 비율이 높았다.
서울에서는 20대 경매 구매자 비율이 34.9%로 전국 평균(19.9%)을 훨씬 웃돌았다.
경기도는 30세 이하 구매자 비중이 30.5%에 달했다.
인천은 20~30대가 24.5%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집을 경매로 사려는 수요가 그만큼 높다는 뜻이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비트코인과 주식에 투자하던 청년들이 소액 투자가 가능한 부동산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며 “가계경매 참여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보 공유 방식이 다소 폐쇄적이었던 과거와 달리 유튜브와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경매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도 경매 인기에 한몫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