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 –

해결

웹 개발 동아리 학생으로 데이터베이스 인프라에 대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오늘부터 한 달간 데이터베이스를 펼칠 예정입니다!
!

지금은 데이터베이스가 뭔지도 모르는데 이 강연을 다 들을 즈음에 벌써 많이 성장했네요…? 해!
!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 : 이 데이터는 다른 목적으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ex) 웹과 앱을 통한 지식 전파, 빅데이터나 인공지능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분석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인가? 파일 제한을 극복하는 특수 소프트웨어

예) MySQL, Oracle, MongoDB 등

CRUD 데이터베이스의 본질

입력과 출력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CRUD

-입력: 데이터의 만들다(생산하는), 업데이트하려면(누르다), 끄다(끄다)

-누르다: 읽다(읽다)

파일 대 데이터베이스

파일:구체적인 정보 입수 어려움

데이터베이스 : 특정 정보의 단순 조달, 자동화를 통한 단순 데이터 처리

각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오라클 : 오랫동안 데이터베이스 시장의 절대강자로 군림 → 주로 정부기관이나 대기업에서 사용

– MySQL: 무료, 오픈 소스 → 자원이 부족하거나 데이터의 신뢰성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기업(예: SNS)에서 사용. 초보자에게 추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X

– MongoDB: 처음에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많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데이터가 유입되면서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예가 MongoDB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