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흉터성형외과(흉터성형외과)와 흉터레이저치료 전문의 성형외과 이정환입니다.
오늘은 팔꿈치 골절 수술 후 흉터가 생긴 환자의 경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골절수술흉터성형외과 치료과정요약 팔골절 수술흉터는 치료가 가능한가요?환자분은 팔꿈치 골절로 오래전에 수술을 받으셨다고 하셔서 몇년전 팔꿈치 골절상처가 너무 못생겼다고 하셨습니다.
흉터 수술을 했고, 그 후 다시 심해져서 흉터가 지금과 같은 상태였습니다.
이후 여러 병원을 다니며 흉터 치료를 받았지만 뚜렷한 호전이 없었습니다.
이후 지인의 소개로 흉터를 치료하기 위해. 병원에 가셨다고 합니다.
팔꿈치 골절 수술 흉터 상태 팔꿈치 골절 수술 흉터는 팔꿈치를 포함하여 전완과 상완에 걸쳐 늘어납니다.
또한 이전 수술의 봉합 자국이 하얗게 봉합 흉터로 변해 팔꿈치를 움직일 때마다 흉터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 하지 근육이 피부에 유착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환자는 두 번의 수술과 여러 차례의 흉터 레이저 치료를 받았지만 효과가 좋지 않아 치료가 가능한지 알고 싶어 흉터 상태를 자세히 설명하고 흉터 수술(흉터 성형)을 제안했다.
팔꿈치 골절 수술 흉터 – 흉터 제거 수술 1단계 – 흉터 제거 + 흉터 완화 photo-library.jpg 흉터 수술은 흉터를 제거한 다음 봉합(봉합)하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흉터를 제거하고 봉합하면 흉터가 재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이는 흉터 사이에 흉터 조직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반흔 용해(adhesion lysis)는 남아있는 유착성 흉터를 완전히 제거하고 정상 조직과 반흔 조직을 분리하여 정상 조직을 잡아당기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해야 합니다.
흉터와 근육유착으로 유착이 관찰된 환자의 경우 흉터를 제거하고 근육에 붙은 피부조직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여 연조직이 밑에 직접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근육. 기존의 골절 수술이나 신경 수술에서는 근육의 근막 조직이 잘 감싸지 못하거나 근막 사이에 근육 조직이 노출되어 흉터가 생기는 과정에서 약해져 피부와 근육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직접 유착으로 흉터를 완전히 제거하고 피부 연조직에 붙은 근육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여 흉터 재수술을 완성합니다.
골절수술흉터성형 2단계-미세봉합술 흉터제거 및 흉터풀림이 완료된 후 원래 부착되어 있던 피부조직을 층층이 분리하여 이제 각각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봉합수술을 진행합니다.
힘줄에 막 => 깊은 지방층 => 진피 => 피부층. 출처 : https://www.aujournals.org/cms/asset/7e6468f6-cf42-492e-bdfc-70d5925413ec/gr1.jpg 이러한 성형수술 방법은 미세슬릿이라고 하는데 단순히 피부를 더 비틀어주는 것이 아니라 비율. 해부학적 구조에 맞도록 개구부 아래의 정상 조직을 복원하는 것처럼 이중 삼중 봉합입니다.
) 성형외과 미세봉합술 개방창상 과정의 해부학적 복원!
수술 부위가 안정되면 경과 사진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힘든 치료를 견뎌주신 환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