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
  • “창문으로 바람이 들어옵니다” – 창호는 단열이라 아주 중요하다 아무리 벽의 단열이 좋아도 창문의 단열이 안 되면 방의 온기는 온기 없이 사라질 것이다.
    창호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창호만큼 중요한 것은 시공업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2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3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4

집 수리를 하면서 철거업체를 고를 때도 견적을 많이 받아 봤지만 견적이 가장 많은 공사는 창호공사다.
철거업체가 리모델링을 시작하면서 확인할 부분이 많아 불가피하게 상담과 견적을 많이 받게 되었는데 창호는 단열에서도 중요하고 집의 전체적인 느낌이 창호가 한몫했기 때문에 많은 상담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요즘 각광받는 독일 시스템 창호를 쓰면 참 좋겠지만 독일 창호의 가격이 상당히 비싼 편이라 LG와 KCC의 창호로 주로 정했다.
처음 몇 군데 회사에서는 정보를 얻기 위한 상담을 받았고, 그렇게 정보를 얻은 후에는 본격적인 상담과 견적을 실시했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5

창문은 프레임의 두께에 따라 가격차가 있지만 유리창과 유리창 사이에도 가격차가 있다.
대략 10곳 정도에서 상담을 받아 6곳에서 견적을 내봤는데 22mm 창호 9시공을 포함해 35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어림잡았다.

확실히 품질과 디자인을 자랑하는 LG 창호의 가격이 가장 높았다.
내 집이라 LG로 하고 싶었는데 가격을 고려해 LG의 슈퍼세이브5(바 두께 250mm) 등급과 같은 KCC 242등급 창호로 정했다.
유리 간격은 24mm로 하였다.

KCC 252, KCC 242, KCC 230이라는 숫자 차이는 이들 숫자의 차이다.
KCC 242는 창호의 바 두께가 248mm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6

KCC 252등급이 바 폭이 두꺼워 단열 효과가 가장 좋다.
그렇다고 주문한다고 아무 데나 설치할 수는 없다.
KCC 252등급이나 KCC 242등급은 보통 발코니 차이라고 하는데 프레임 폭도 두껍지만 유리를 싸고 있는 테두리 테두리 역시 두꺼워 유리창이 작아진다.
작은 창문의 경우 발코니창으로 할 경우, 예를 들어 목욕탕 창문의 경우 발코니창으로 할 경우 유리 부분이 너무 작아서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래서 내가 주문한 창문 8개 중 6개는 발코니 창문에서, 3개는 일반 창문으로 주문했다.
창호 9개의 가격은 290만원이다.

셀프 리모델링은 이런 것들을 낱낱이 확인하고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할 일이 태산이고 해야 할 공부가 태산이다.
두통이 있을 정도로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다.

창호 주문까지는 시간이 필요했을 뿐 순조롭게 진행됐다.
문제는 시공에 있었다.
창호 상담을 받을 때 창호만 주문인지 시공인지를 물어봤다.
당연히 시공까지 해줄 줄 알았는데 시공비는 따로 추가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업체 소개를 받은 시공업자에게 시공을 의뢰했다.
참고로 시공사 사장은 건호 사장의 처남이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7

시공하기 전에 나의 실수가 있었다.
창문 프레임이 들어가는 곳은 평탄하게 작업해 놓았지만 위 사진처럼 주변 마무리가 덜 됐다.
혼자 셀프 리모델링을 하다 보니 이렇게 당연한 부분을 지운다.

이 부분은 창호업체에서도 창문 하나를 코킹하지 않았는데 며칠 뒤 코킹을 올 때 미장을 해두면 실리콘 작업을 해준다고 한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8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9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0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1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2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3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4
  • FM으로 작업해 줄 수 있나요? – 그렇게 창호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우레탄폼을 벽과 창호프레임 사이에 충분히 쏘는 것 같지 않으니 우레탄폼을 조금만 더 쏘라고 해서 넘치게 쏘면 실리콘을 바를 수가 없다고 한다.
  • ???
  • 그래서 잠시 생각했다.
    우레탄 폼에 넘치면 실리콘이 안 발라진다고? 이해가 안 돼 시공업자가 시공하는 모습을 보니 틈으로 우레탄 폼을 쏜 뒤 우레탄 폼이 굳기 전에 곧바로 실리콘 작업을 시작했다.
  • “???????????????? 원래 이런일인지 틀린일인지 당시에는 잘 몰랐어. 우레탄폼 작업 때는 충분히 박아 틈새를 메우고 실리콘을 발라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업체의 작업 방식은 조금 달랐다.
    그들의 경력은 십수 년인데도 내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게다가 나는 너무 초보였기 때문에 그저 그들의 말을 듣고만 있었다.
  • 곰곰이 생각해 보니 알 수 있었지만 FM 시공이라면 우레탄폼을 충분히 쏴 굳힌 뒤 밖으로 튀어나온 부분은 잘라내거나 손가락으로 밀어넣고 실리콘을 발라야 했지만 작업시간을 줄이기 위해 밖으로 뛰쳐나가지 않는 정도로 맞춰 곧바로 실리콘 작업을 한 것이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5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6

「그래, 우레탄 폼은 그대로 진행하자」라고 손을 써도, 창문이 뒤틀려 있는 것을 리폼 다시 하고 처음으로 알았다.
설마 창문이 삐뚤어질까 했는데 정말 비뚤어져 있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7

위 사진을 보면 창문의 중간 부분이 평행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좁고 위는 넓다.
이때는 이런게 전혀 보이지 않았다구.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8
  • 창호의 시공가격은 130만 원이다.
    – 닫혔을 때는 괜찮지만 문을 열고 양 창문이 겹치면 양 창문이 평행하지 않고 평행사변형처럼 기울어져 있다.
    들켰을 때는 창호를 단 지 두 달 정도 지나 전화해도 잘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전화도 하지 않았다.
    사진으로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보면 궁금할 정도다.
창호를 달았는데 시공업자를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