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부동산 리뷰 2023.2

(주거용 부동산 시장)
◦ 부동산가격: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하락폭 확대, 매수심리 소폭 회복
∙ 1월 전국 주거용 부동산 매매가격(-1.31%)이 3개월 연속 1% 이상 하락한 가운데 주거용 부동산 매매전망지수(67.0)는 보합세를 보임.
그러나 9개월 만에 회복되면서 하락 전망의 비중은 소폭 하락했다.

∙ 전세전망지수는 정부의 전세정책과 전세대출 부담이 일부 완화되면서 소폭 회복.
◦ 주택거래 : 매매 및 월세 거래 감소세 둔화, 월세 선호 지속
∙ 12월 주택 매매량은 약 29,0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나, 지난해 8월 이후 하락세 지속 ​​둔화
∙ 금리인상으로 2022년 4월부터 월세가 전세가를 상회
◦ 아파트 매매: 청약 시장의 수요는 크게 감소한 반면 미분양은 증가하고 있음.
∙ 1월 미분양 1/4m/m 감소한 11,000채, 12월 미분양 10,000m/m 증가
◦토지 : 2022년 전국 지가상승률 최근 6년 최저, 토지거래량 최근 10년 최저
∙ 2022년 토지가격은 2016년 이후 최저인 2.73% 인상
∙ 지난해 전국 토지 거래량은 220만9000건으로 전년 대비 33% 감소
◦ 가계금융: 주택담보대출 순증, 대출금리 하락 지속
∙ 12월 주택담보대출 순증액은 3.1조원, 예금대출은 0.4조원 감소
∙ 신규대출금리는 전월대비 11bp 하락한 4.63%, 부도율은 전월대비 1bp 상승한 0.14%
(상업용 부동산 시장)
◦ 오피스: 2022년 4분기 총 거래량 감소, 임대 시장 안정세 지속
∙ 2022년 4분기 서울 오피스 거래량(2조 3,000억원)은 전분기 대비 5% 감소, 공실률은 1.30%
◦ 오피스텔: 하락세 지속, 전국 실거래가지수 하락폭 확대
∙ 4개월 연속 하락, 서울 하락세 전환
( 해외 부동산 시장 )
◦ 미국 주택: 모기지 금리 하락으로 주택 관련 지표 소폭 회복
∙ 노동시장 호조와 재고 부족 등을 감안하여 주택 신규매매 건수는 3개월 연속 증가세
부동산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기존주택 재고 소진기간(2.9개월) 코로나19 이전보다 짧아
◦ 미국 커머셜: 경기침체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시장 둔화 우려 여전
∙ 2022년에는 금리인상 및 경기위축으로 상업용 부동산 임대 및 투자시장이 급격하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집에서 일하려면
동시에 Big Tech의 사무실 공간(약 3천만 평방피트) 축소는 사무실 임대 시장에 타격을 입혔습니다.


KB 부동산 리뷰 2023.2 1


KB 부동산 리뷰 2023.2 2


KB 부동산 리뷰 2023.2 3


KB 부동산 리뷰 2023.2 4


KB 부동산 리뷰 2023.2 5


KB 부동산 리뷰 2023.2 6


KB 부동산 리뷰 2023.2 7


KB 부동산 리뷰 2023.2 8


KB 부동산 리뷰 2023.2 9


KB 부동산 리뷰 2023.2 10


KB 부동산 리뷰 2023.2 11


KB 부동산 리뷰 2023.2 12


KB 부동산 리뷰 2023.2 13


KB 부동산 리뷰 2023.2 14

2023.02.19 – (참고) – KB부동산 전국 주택매매가 전주 대비 -0.36%, 전세 -0.50%, 서울 -0.30% 하락

KB부동산 전국 주택매매는 전주 대비 -0.36%, 전세 -0.50%, 서울은 -0.30% 하락했다.

KB부동산 국민아파트 통계 2023.2.13 주간 시계열 전국 아파트 매매 -0.36%, 전세 -0.50% 전주 대비 하락, 서울 매매 -0.30% 소폭 축소 – 서울 이직률(매매 -0.39%(2 /6) → -0.30% (2/13), 전세 -0.86%

budongsanthe.ohlife.co.kr